불면증은 흔히 잠을 잘 못 자는 병으로 알려져 있는 질환이에요.
하지만 무작정 내가 잠이 안 온다고 해서 불면증은 아니고, 몇 개의 자가 진단을 통해서 불면증을 판단해야 해요.
왜냐면 불면증의 치료방법으로 약물치료가 있을 수 있는데, 불면증이 아닌데 약물을 사용해서 잠에 들게 하는 것은 몸에 꽤나 무리가 오기 때문이에요.
오히려 더 잘못된 길로 갈 수 있다는 말이죠.
물론 의사도 쉽게 수면제를 처방해 주지는 않지만, 약국에서 파는 약한 수면제라도 내성이 생길 수 있으니까 일단 수면패턴부터 고치는 게 좋아요.
사실 인간은 밤에 자야 하는 생체리듬을 갖고 있어요.
하지만 바쁜 삶으로 인해 수면 부족이나 불규칙적인 수면패턴을 자주 경험하다 보면 내 몸이 뒤죽박죽이 된 것을 느낄 수도 있죠.
이렇게 잠을 잘 못 잔다면 짜증, 식욕부진, 소화불량, 피로감, 기억력 퇴화부터 정말 다양하고 심각한 질병까지 걸릴 수도 있어요.
그래서 불면증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는 자가 진단표부터 보여드릴게요.
1. 잠에 들기가 어렵다
2. 밤에 이유 없이 수차례 잠에서 깨어난다
3. 밤에 누워도 잠이 오지 않는다
4. 잠에서 깨어도 다시 잠들기가 쉽지 않다
5. 일어나고 나서 하루 종일 피곤하다
6. 피곤해도 잠이 오지 않는다 (낮잠, 밤잠 상관없이)
7. 졸리고 짜증 나는 시간이 대부분이다
8. 집중이 잘되지 않는다
9. 잠에 드는데 30분 이상이 걸린다
10. 잠을 몰아서 잔다
만약 위에서 3개 이상이면 수면장애를 의심해보아야 하고, 5개 이상이면 불면증일 확률이 높으며, 7개 이상이면 꼭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아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불면증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바로 일시적인 불면증과 만성적인 불면증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일시적인 불면증은 3개월 보다 짧게 증상이 보이는 경우, 만성적인 불면증은 3개월 보다 길게 증상이 보이고 호전되지 않는 경우를 말해요.
실제로 불면증은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질환이에요.
불면증의 이유:
1. 스트레스
2. 불안감
3. 소음
4. 실내 온도 불안정
5. 잠자는 환경이 몸과 맞지 않음
6. 카페인
7. 니코틴(담배)과 같은 신경을 건드리는 마약 물질
8. 술
9. 시차
10. 밤낮이 뒤바뀐 생활 (올빼미족)
의학적으로 권장되는 수면시간 (하루 평균):
어른: 7-9시간
아이(초등학생 이하): 9-13시간
갓난아기: 12-17시간
해야 할 것:
1. 일정한 시간에 잠에 들도록 노력하기
2. 잠자기 전에는 많은 움직임이 필요한 행위를 삼가기
3. 잠자는 환경을 어둡고 조용하게 유지하기
4. 낮에 운동하기
5. 자연광을 쐐기(햇빛)
6. 매트리스와 베개를 자신과 맞는 것으로 바꾸기
하지 말아야 할 것:
1. 잠자기 전에는 술, 차, 커피, 운동을 하지 말기
2. 야식 금지, 과식 금지
3. 낮잠 금지
4. 자기 전 티비, 스마트폰 등 눈에 빛을 쏘는 활동을 삼가기
끝.
간헐적 단식 장점 (0) | 2021.08.24 |
---|---|
칼로리가 뭘까? (0) | 2021.08.22 |
(데자뷰)데자뷔가 뭘까? (0) | 2021.08.15 |
비타민 종류와 효능 정리 (0) | 2021.08.15 |
달의 모양이 바뀌는 원리 (0) | 2021.08.1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