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름종이의 원리

Breaking Science

by Stupid Genius 2021. 3. 1. 21:57

본문

반응형

우리가 몸에서 가장 많이 보는 부위 중 하나인 얼굴은, 작은 트러블이 생겨도 정말 예민해지는 부위죠.

 

특히 여드름이나 뾰루지 등은 잘 씻지 않거나 병균에 감염돼서 생기는데, 전자의 경우 모공에서 나오는 기름 때문에 생기죠.

 

이걸 막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스킨케어용품 중 하나인 기름종이는, 종이라고는 하지만, 훨씬 기름을 잘 흡수해서 클렌징 폼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해요.

 

그럼 과연 이 종이와 플라스틱 사이의 물질은 어떤 방법으로 기름을 흡수할까요?

 

기름종이가 기름을 없애는 방법은 닦아낸다는 표현보다는 흡수한다는 표현이 더 맞아요.

 

기름종이를 만드는 원료는 쌀종이, 나무 펄프, 솜 등이 있는데, 대부분 가공해서 얻는 재료들이죠.

 

자세한 원리는 분자구조에 달려있지만, 그냥 간단하게 생각해서 휴지로 물 흡수하는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돼요.

 

휴지를 물 위에 두면, 휴지 속 작은 틈새로 물이 흡수되는 걸 볼 수 있듯이, 기름종이를 기름 위에 올려두면 기름이 종이를 타고 올라가 흡수되는 거죠.

 

비슷하게, 힘을 주면 기름이 더 잘 빨리고, 닦듯이 피부에 문지르면 속에 있는 기름까지 흡수할 수 있죠.

 

물과 다르게, 기름은 극성분자가 아니기 때문에 (물과 기름이 안 섞이는 이유도 이 때문) 기름종이도 역시 휴지랑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지만, 결국 원리는 비슷해요, 겉에 있는 물질을 흡수하는 거니까요.

 

원리 설명은 이쯤 해두고, 다음 포스팅에서는 기름종이의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얘기해 볼게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