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판구조론과 맨틀대류설 (1): 판게아 Pangaea

Breaking Science

by Stupid Genius 2021. 7. 18. 23:30

본문

반응형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은 물론 지구라고 해도 정확하지만, 더 정확히 말하면 지구의 "땅"이에요.

 

지구는 땅과 바다(물)로 이루어져 있는 행성이기 때문에, 둘을 구분 짓는 것이 필요할 때가 있죠.

 

특히 지구과학에서 판구조론을 배우는 사람이라면, 이 둘을 구별하는 것이 정말 중요할 거예요.

 

비록 우리가 서 있는 이 땅은 가만히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사실은 아주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부터, 화산과 지진은 어떻게 생기는 것인지, 그리고 지구의 중심에는 무엇이 있는지까지 한번 4개의 글을 통해 알아봅시다.

 

잔말 말고 시작하죠.

 

판 구조론, plate tectonics에 배우기 시작하면, 지구가 맨 처음에 어떻게 생겼는지부터 시작돼요.

 

하지만 인간이 시간을 역행할 수는 없기 때문에, 누구도 원시 지구의 모습을 보지는 못했죠.

 

판구조론이라는 이론에 따르면, 원시 지구는 하나의 큰 땅덩어리로 만들어져 있었다고 해요.

 

 

 

판게아 Pangaea, 지구는 원래 이렇게 생겼었다!!

쉽게 말해 땅 한 덩어리, 그리고 나머지는 바다였다는 것이죠.

 

이 큰 땅덩어리를 "판게아 Pangaea"라고 부르는데, 이런 추측이 나올 수 있었던 증거가 크게 3가지 정도 있어요.

 

1. 대륙의 테두리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대륙들의 각각 테두리를 잘 살펴보면, 마치 퍼즐 조각이 떨어진 것처럼 딱 딱 맞는 부위들이 있어요.

 

이런 부위들을 조합해봤더니 실제로 커다란 덩어리 하나가 완성되었다는 주장이죠.

 

2. 화석의 발견

 

화석은 옛날에 살던 동식물들이 죽어서 남긴 흔적이에요.

 

죽은 생물이 땅에 묻혀 퇴적물이 그 위에 계속해서 쌓이게 되고, 그 퇴적물이 결국 화석이라는 형태로 발견돼 되는 거죠.

 

이 화석은 어떤 생물이 어떤 지역에서 살았는지를 보여주는데, 재밌는 사실은 서로 완전히 동떨어져 있는 대륙에서 똑같은 화석이 발견된 사례가 꽤 있다는 거예요.

 

마치 같은 땅 위에서 서식하던 동식물인 것처럼 말이죠.

 

이게 가능할 수 있는 이유는 원래는 하나였던 땅덩어리가, 시간이 지나면서 둘 이상으로 쪼개져 화석 역시 갈라진 것이라는 주장이에요.

 

3. 퇴적암의 구성

 

돌이 생성될 수 있는 방법은 꽤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퇴적이 진행되면 시에요.

 

퇴적은 물질이 계속해서 위에 쌓이게 되는 과정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일이죠.

 

퇴적암을 통해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느냐? 바로 그 지역에 어떠한 미네랄이 있고 어떤 주기로 비와 자연현상들이 일어났는지 알 수 있어요.

 

퇴적암을 살펴본 결과, 동떨어진 대륙의 퇴적암에 쌓인 물질이 같다는/비슷하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죠.

 

쉬운 예시를 들자면, 제가 과자를 한 입 물었는데 안에 내용물이 초코파이라면, 이 제품은 초코파이 공장에서 만들어진 거라는 걸 알 수 있어요.

 

그러니 만약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된 퇴적암이 남극의 것과 비슷하다면, 두 대륙은 원래 붙어있었다고 유추할 수 있죠.

 

 

 

이렇게 3가지 증거를 통해 판구조론이 성립된 겁니다.

 

다음으로, 그렇다면 왜 굳이 "판"이라고 부르는지, 만약 지구를 갈랐을 때 몰티져스처럼 속이 그냥 한 가지로 꽉 차있으면 그냥 "땅 구조론"이나 "덩어리 구조론"이라고 부르면 될 것을 말이죠.

 

그 이유는 지구를 갈랐을 때 생각보다 여러 개의 층으로 나뉜 것을 볼 수 있어서 그런데, 이건 다음 글에서 다루겠습니다.

 

*이 내용 역시 판구조론에 포함되는 것이니 다음 포스팅 링크는 댓글에 걸어드릴게요.

 

(사실상 "판"구조론이니까 판이 메인이죠)

 

 

사진출처: Explainer: Earth — layer by layer. (2019). Retrieved 18 July 2021, from https://www.sciencenewsforstudents.org/article/explainer-earth-layer-layer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