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경제학의 아버지/할아버지로 불리는 애덤 스미스가 유명해진 계기가 뭔지 아시나요?
그건 바로 그의 저서 국부론, wealth of nation (직역하면 나라의 부) 때문이에요.
그리고 국부론에서도 가장 잘 알려진 "보이지 않는 손" the invisible hand는 나라의 경제가 어떻게 홀로서기가 가능한지 보여주죠.
오늘은 보이지 않는 손을 간단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It is not from the benevolence of the butcher, the brewer, or the baker that we expect our dinner, but from their regard to their own self-interest. We address ourselves not to their humanity but to their self-love, and never talk to them of our own necessities, but of their advantages. "
" 우리의 저녁은 도축업자나 양조업자 또는 빵집 주인의 자애로 베풀어지는 것이 아닌 그들의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함이다. 우리는 그들의 인간성이 아닌 자기애를 통해 살아가고, 그들에게 얘기하는 순목적은 단지 그들의 이익을 위함에 지나지 않는다. "
이게 국부론에서 가장 유명한 부분인데, 제가 번역한 거라 완벽하지는 않을 수 있어요.
그래도 뭔가 느낌만 왔다면 성공적인 것 같습니다.
아무튼, 이 부분을 읽어본다면, 아주 직관적으로 와닿는 게 바로 우리는 개인의 이익을 위해 살아 간 다세요.
상대방이 뭘 하든 뭘 먹든 아무런 상관이 없이, 우리는 단순히 우리의 이익을 추구하며 살아간다.
그리고 모든 사람들이 이렇게 개인의 이익을 추구한다면, 사회/나라의 경제는 잘만 돌아갈 것이다.
이는 왜냐면, 결국 누군가는 사회에 필요한 것을 공급해 주고, 또 그것이 필요했던 사람들(수요)는 공급처에게 이익을 가져다주니까요.
더 작은 스케일에서 본다면, 여러분이 주변 빵집에서 빵을 산다면, 빵집 주인은 그로 인해 수익을 얻고, 여러분은 빵을 살 수 있어요.
이 경우, 둘 다 자신의 투자 대비 더욱 큰 이익을 보기 때문에, (빵 주인은 원재료보다 더 벌고, 여러분은 빵을 만들지 않고 완제품을 사고) 둘 다 이득을 보죠.
그리고 이런 구조를 value added exchange, 한국어로 바꾸면 "더 높은 가치로 교환" 하는 거예요.
결국, 이러한 거래가 백만 천만 단위로 늘어나면, 경제가 돌아가는 것이죠.
보이지 않는 손의 두 번째 중요한 요소는 바로 도덕인데요, 이는 많은 사람들이 놓치는 부분이에요.
애덤 스미스의 말에 따르면, 이 모든 거래 과정은 반듯이 "자율적으로" 일어나야 한다고 해요.
한마디로, 외부의 개입 없이, 빵집에 들어가는 것부터 빵을 사고 말고 결정하는 것까지 전부 개인의 결정이어야 한다는 것이죠.
결국, 보이지 않는 손은 경제와 도덕을 둘 다 설명하는 것이므로 배울 가치가 있고 높게 평가되는 거예요.
오늘도 얻어 가시는 게 있었다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비는 왜 내릴까? 비가 만들어지는 과정 (0) | 2021.05.15 |
---|---|
매운 걸 먹으면 스트레스가 풀릴까? (0) | 2021.05.13 |
매운맛을 빨리 없애는 방법 (0) | 2021.05.09 |
목 아플 때, 목 부었을 때 치료방법 (0) | 2021.05.09 |
스코빌지수가 뭘까? (0) | 2021.05.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