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오래 앉아있는 것이 얼마나 몸에 안 좋을까

Breaking Science

by Stupid Genius 2021. 4. 8. 00:05

본문

반응형

우리(현대인)은 하루의 대부분을 앉아서 보내요 (직업마다 조금 다르겠지만요).

 

네 맞아요, 사회가 이렇게 만들었어요.

 

모든 건 이 세상 탓입니다...라고 하기 전에 오늘은 오래 앉아있는 게 인체에 과연 얼마나 안 좋을지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 드릴게요.

 

아마 다 읽으시면 자세교정이나 의자를 바꿔야겠다는 생각이 드실 수도 있어요.

 

 

사실 움직이는 직업도 많긴 하지만, 인간의 직업 중 대부분은 몸은 가만히 있고 뇌를 사용해 생산성을 늘리는 직업이에요.

 

물론 학생들도 똑같고요.

 

하지만, 사실 인간의 몸은 일어서서 움직이라고 만들어졌어요.

 

뭐 거의 빌트인 수준으로 말이에요.

 

인간의 몸에는 360+개의 관절, 700+의 뼈, 신축성이 뛰어난 피부, 자극을 받을수록 똑똑해지는 신경, 충격을 받을수록 자라나는 근육 등 조직들이 움직임을 필요로 해요.

 

그 반대로 하루의 대부분을 앉아 있는다면, 몸에 당연히 무리가 갈 수밖에 없겠죠.

 

1. 척추건강

 

대표적으로 앉은 자세는 등이 굽고 어깨가 모이는 자세인데, 만약 이러면 어쩔 수 없이 척추에 무게 균형이 깨져요.

 

애초에 뼈와 디스크의 겹구조로 이루어진 뼈는 직립보행에 최적화돼 있는데, 우리가 계속 굽히고 있으면 당연히 무리가 가죠.

 

2. 뇌 건강

 

움츠려든 자세는 흉곽 쪽의 공간, 즉 cavity를 줄이는데, 이는 결국 폐의 부피를 줄여요.

 

한 마디로 폐가 수용하는 산소의 양이 줄면서 몸 전체에 산소 공급이 원활히 되지 않고, 결국 뇌의 100%를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거죠.

 

3. 신경 건강

 

가만히 똑같은 자세로 있는다면, 감각이 없어지는 부위가 있을 거예요.

 

특히 다리를 꼬는 자세는 최악이죠.

 

이는 신경 사이의 연결이 끊겼다는 것인데, 그러면 점점 신경전달이 퇴화하면서 몸의 여러 부위를 사용하지 못하는 소위 말해서 몸이 굳는 결과를 낳을 수 있어요.

 

4. 비만

 

당연하겠지만 움직이지 않으니까 지방을 못 태우고, 그러니 먹는 게 다 살로 가서 살이 찌겠죠?

 

이 밖에도 전립선 건강이나 발육 건강 등 여러 가지 결과가 있어요.

 

똑바로 앉아야 키도 큰다는 말입니다. 

 

 

일과 후에는 조금 걷기라도 하고, 집에서 스트레칭이라도 꾸준히 하는 게 그나마 조금 균형을 맞출 수도 있어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