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저기압 고기압 설명

Breaking Science

by Stupid Genius 2021. 7. 11. 16:04

본문

반응형

내일 나가야 하는 일이 있다면 우리는 하루의 마지막을 보통 날씨예보를 보면서 마무리하죠.

 

뭐 굳이 나갈 일이 없더라도 뉴스를 보다 보면 일기예보는 항상 해주니까요.

 

그런데, 일기예보를 보면 모든 걸 다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왜냐면 전문용어들이 꽤 많이 나오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헷갈릴 법한 단어인 고기압과 저기압에 대해 설명해드릴게요.

 

아마 읽고 나시면 위성 동영상이 잘 이해될 거예요.

 

일단 기압/공기압이라고 하는 것은 공기가 주는 압력이에요.

 

똑같은 맥락에서 물이 주는 압력은 수압이라고 하고, 피가 주는 압력은 혈압이라고 하죠.

 

물이 많을수록 수압은 높아져요, 반대로 적을수록 수압은 낮아지죠.

 

기압도 똑같아요.

 

온도가 높으면, 공기는 뜨거워요.

 

뜨거운 공기는 밀도가 낮으니까 하늘로 올라가죠.

 

이렇게 되면 지면에 남는 공기의 양은 상대적으로 적어져요.

 

그러니 온도가 높으면 저기압이 형성돼요.

 

반대로 온도가 낮으면 고기압이 형성되죠.

 

저기압이 형성될 때,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요, 이걸 상승기류라고 해요.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공기가 하늘로 올라가기 때문에 저기압이 생기는 거죠)

 

고기압이 형성될 때, 공기가 땅으로 떨어져요, 이걸 하강기류라고 해요.

 

이러한 기류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바람"이에요.

 

그러니 바람은 기압에 의해 생기는 공기의 흐름이라고 받아들이면 좋아요.

 

자 그런데, 지구는 자전을 하죠? 그래서 단순히 상승/하강기류라고 해서 아래서 위로 또는 반대로 똑바로 움직이지 않아요.

 

지구는 서쪽에서 동쪽으로 돌아요 (해가 동쪽에서 뜨는 걸 보면 알 수 있죠), 그래서 기류 또한 "시계방향"으로 돌면서 나아가요.

 

상승기류가 생기는 저기압의 경우, 바람은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뻗어가는 것을 볼 수 있어요.

 

다르게 말하면, 저기압 주위에 있는 공기는 시계방향으로 돈다고 말할 수 있어요.

 

그래서 위성영상에서 만약 뭐가 시계방향으로 도는 걸 보신다면, 그 중심에 저기압이 형성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고, 그 주변 공기는 뜨거운 공기구나를 알 수 있죠.

 

하강기류가 생기는 고기압의 경우, 바람은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동시에 시계방향으로 퍼지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다르게 말하면, 고기압 주위에 있는 공기는 하늘에서 떨어지면서 시계방향으로 돈다고 말할 수 있어요.

 

그래서 위성영상에서 만약 뭐가 시계방향으로 도는 걸 보신다면, 그 중심에 고기압이 형성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고, 그 주변 공기는 차가운 공기구나를 알 수 있죠.

 

저기압이던 고기압이던 시계방향인 것은 똑같아요, 그래서 영상에서는 직접 "고기압" "저기압"이라고 써주죠.

 

정리하자면,

 

더워 --> 저기압 --> 상승기류 --> (자전) 시계방향으로 뻗어 나아감

 

추워 --> 고기압 --> 하강기류 --> (자전) 시계방향으로 돌며 들어옴

 

하지만, 지구를 이렇게 작게만 보는 것은 올바르지 않아요.

 

사실 고기압과 저기압은 대기 어디에서도 형성될 수 있고, 만약 아래 저기압이 깔리게 되면 더 위에는 자연스럽게 기압차로 인한 고기압이 생길 수밖에 없죠.

 

그래서 단순히 덥다고 전부 저기압인 것은 아니고, 만약 뜨거운 공기 때문에 고기압이 발생했다고 하면, 원래 추운 곳에 더운 공기가 생겨 기압차로 인해 고기압이 위쪽에서 생겼다고 봐야 하는 거죠.

 

또한 북반구에서의 기류는 남반구에서의 기류와 반대이기 때문에, 하나로 정리하는게 좀 힘들 수 있어요.

 

조금 복잡하죠?

 

근데 뭐, 사실 교과서에 있는 데로 알아도 원리만 적용시킬 수 있다면 충분히 이해가 되실 거예요.

 

저도 사실 쓰면서 계속 헷갈려서... 잘못된 정보 있으면 알려주세요 :)

 

그럼 오늘도 감사합니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