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Chapter 16. 스킨십: 스킨십을 하고 싶게 만드는 법 (pt. 2)

Just Chatting/연애하고싶다

by Stupid Genius 2021. 5. 2. 00:03

본문

반응형

스킨십의 효과가 받는 이의 반응에 의해 좌우될까?

 

스킨십이란 하는 이와 받는 이로 나눌 수 있어요.

 

여기서 하는 이는 앞선 파트에서 말했듯이 친밀감과 애정을 키우기 위함이라는 목적이 있어요.

 

그리고 이 목적은 받는 이로 하여금 성공이냐 실패냐가 결정되죠.

 

받는 이가 착한 반응, 지지적인 반응, 돌봐주는 반응, 같이 사랑하는 반응 등등의 다른 반응을 보일 때, 스킨십은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가에 대한 실험이에요.

*여기서부터 나오는 "반응" "반응도"의 뜻은 간단히 "리액션"으로 해석해도 무방해요.

 

연인이 있는 824명 (평균 26.4세)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어요.

 

이 사람들은 평균 4.4년의 커플 관계를 유지 중이었죠.

 

그리고 일부는 결혼을 했고, 일부는 미혼인 상태였어요.

 

실험자는 피실험자의 배우자의 반응도, 즉 스킨십을 받아들이는 자세를 분석함으로써 스킨십이 얼마나 자주 오가는지 알아봤어요.

 

간단히 말해서, 두 가지 반대되는 케이스를 소개하자면:

 

1. 반응: 스킨십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상대방을 많이 이해해 주고 달래준다

vs.

2. 반응: 스킨십에 대해 폐쇄적이고, 상대방이 하는 스킨십을 피하려고 한다

 

이러한 반응도를 먼저 보고한 후, 참가자들은 2주 동안 매일 10분씩 일기 형식의 답변을 썼어요.

 

일기의 답변은 "오늘 내가 가장 인상 깊었던 스킨십".

 

아니나 다를까, 반응을 잘 해주는 배우자와 함 깨였던 피실험자들은 2주 동안 더욱 진한 스킨십을 나눴을 반면반응을 잘 해주지 않는 배우자와 함 깨였던 피실험자들을 2주 동안 매우 약한 스킨십을 보였어요.

 

이 실험의 결과가 말해주는 것은, 리액션을 잘해주는 사람은 스킨십을 하고싶게 만든다.

 

그래서 사람들이 리액션 좋은 배우자를 선호하는 데는 다 이유가 있는 거라는 결과에요.

 

다음 파트에서는 그럼 주는 이는 어떻게 해야 스킨십을 더욱 편하고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볼게요.

 

 

참조 문헌: Jolink, T. A., Chang, Y.-P., & Algoe, S. B. (2021).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forecasts behavioral intimacy as measured by affectionate touch.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19, doi: 10.1177/0146167221993349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