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Chapter 21. 동성애 (pt. 1)

Just Chatting/연애하고싶다

by Stupid Genius 2021. 5. 14. 23:17

본문

반응형

성소수자는 성 정체성, 성별, 신체상 성적 특징 또는 성적 지향 등과 같이 성적인 부분에서 사회적 소수자의 위치에 있는 이를 말한다.

(출처: 지식백과)

 

말 그대로 한 사람의 성적인 영역에서, 소수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죠.

 

그리고 성소수자들을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단어가 바로 LGBTQ이에요.

 

L은 레즈비언, G는 게이, B는 bisexual 양성애자, T는 트랜스젠더, Q는 퀴어죠.

 

이들 중, 가장 잘 알려진 사람들이 바로 동성애자예요.

 

L과 G에 해당되는 사람들이죠.

 

동성애란 같은 성별을 가진 사람들이 사랑하는 것으로, 소수의 인구에서 찾아볼 수 있어요.

============

사실 생물학적으로 말한다면, 성소수자들이 정상이라고 말하기는 힘들어요.

 

물론, 현대 생물학이 모든 것을 완벽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번식과 생존본능에서 바라봤을 때 비정상에 가깝죠.

 

다양한 연구들이 동성애는 곤충들에게서 확인이 되었고 이는 실제로 생존확률을 늘려준다는 결과를 확인했어요.

 

하지만, 인간은 유성생식을 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인간에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에 서는 문제가 있죠.

 

저는 성소수자들에게 긍정적이지도 않고 부정적이지도 않아요.

 

그저 그러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하고 그들 존중 뿐이죠.

 

인간이라는 복잡한 동물이 사회라는 복잡한 체제 속에서 충분히 일어날 수도 있다고 보는 거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보수적인 나라들이나 문화적으로 고립된 사상을 가진 사람들은 성소수자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음은 분명해요.

 

그만큼 LGBTQ에 관한 단체들이 많이 설립되고 그들의 인권을 보호하려고 하고 있죠.

 

솔직히 생각해 보면 우리 모두 연애하는 방식이 제각각인데, 왜 굳이 성소수자라고 특별히 신경을 쓰는 걸까요?

 

그냥 그들이 연애하는 방식도 다르다는 것을 알고 터치를 안 하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은 모두 같으니까, 그냥 인정해 주고 존중해 주면 되는 거죠.

 

굳이 동성애라고 눈살 찌푸리고, 엄청 연상/연하 사귄다고 눈살 찌푸리고, 커플이 안 어울린다고 눈살 찌푸리는 건 그냥 오지랖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에요.

 

그러니 다른 커플들에게 민폐를 끼지고 싶지 않다면, 신경 쓰지 안아주는 게 가장 현명할 수 있죠.

 

다음 파트에서는 동성애자들의 뇌연구에 대한 소식을 잠깐 소개 드리고 이 챕터를 마칠게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